Search

알림 관련 데이터 개선

진행기간
25.05 ~ 25. 06
서비스 영향범위
APP
Back-end
담당업무
- 요구사항 정의 및 우선순위 설정 - 사전검토 및 기획 문서 작성 - 크로스플랫폼 개발팀 협업 리드 - 배포 후 데이터 확인 및 검증
우선순위
핵심
주요성과
- 알림 상세 항목별 오픈율 측정 체계 구축 - 활성 유저 중 알림 미수신 비율 21% 최초 측정 성공 - 알림 개선 타겟팅 및 성과 측정 기반 구축
프로젝트 구성
PO 1(본인), Android 1, iOS 1, QA 1, Back-end 2, Data 2

프로젝트 배경

문제 상황

정확한 알림 효과 측정 불가
종목별, 변동률별 세부 지표 추적 어려움
실제 알림 수신자와 오픈율 파악 한계
발송 시점 기준 사용자 알림 설정 상태 추적 불가

비즈니스 임팩트

알림 운영 효율성 저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제약
사용자 경험 최적화 어려움

해결 방안

1. 알림 메시지 데이터 세분화

Before: 단순 텍스트 메시지만 저장
After: 종목명, 변동률, 현재가 등 핵심 변수 분리 저장
// 개선 후 데이터 구조 { "notification": { "title": "보유자산 알림", "body": "비트코인 (BTC) 매수평균가 대비 +15% 상승", "data": { "symbol": "BTC", "changePercent": "+15", "currentPrice": "45000000" } } }
JSON
복사

2. 실시간 발송/오픈 추적 시스템

실제 푸시 발송 여부 기록 (is_sent 필드)
사용자 알림 오픈 이벤트 실시간 수집
시스템 알림 설정 상태 추적

3. 알림 설정 이력 관리

기존: 최신 설정 상태만 보관
개선: 모든 설정 변경 이력을 로그 형태로 저장

데이터 모니터링

배포 일정
5월 14일 : 알림 설정 로그 빅쿼리 적재
5월 30일(5.8.0) : 푸시 발송 여부 적재 / 푸시 오픈 이벤트 적재 / 시스템 알림 설정 적재
6월 12일 : 알림 본문 데이터 세분화
측정 기간 : 25.05.14 ~ 06.16
대상 : 시스템 알림 발송 대상 유저
신뢰도 높은 알림 수신 유저 영향도 및 오픈율 파악 가능
오픈율 측정 개선 후, 배포전의 오픈 측정 기준에서 -3.9% ~ 4.8%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는것으로 확인
활성유저의 시스템 알림 ON/OFF 설정 측정 가능
활성유저 기준 21%의 유저가 시스템알림 OFF 상태로 확인
알림 상세 항목별 오픈율 측정 가능(케이스별, 종목별, 등락률별)
코인원 앱 내 항목별 알림 ON/OFF 설정 측정 가능

측정 가능한 결과

정량적 지표

시스템 알림 미수신 처리되어 있는 21% 활성유저 타깃층 발견
알림 오픈율 정확도 향상: 추정치 → 실측치
종목별 관심도 데이터 확보
시간대별 최적 발송 시점 도출 가능

정성적 개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 구축
사용자 맞춤형 알림 전략 수립 기반 마련
운영팀 업무 효율성 증대

상세 문서

이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고,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