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요구사항 정의서]원화 입출금안내 개선

목표

원화 입출금시, 간편인증 시간초과/잔액부족 사유로 입금을 실패하는 유저들에게 안내 개선을 통해 입금을 성공경험을 높인다.

문제정의 & 가설

현황 데이터

24.01.01 ~ 24.03.17일 간 평균 원화 입금 실패율이 높은 케이스 개선 포인트 도출
입금 성공율: 78.48%
입금 실패율: 21.38%
1위: 간편인증 시간초과(8.49%)
2위: 거래금액 잔액부족(7.07%)

문제정의

1.
원화 입출금 시, 인증 시간 초과
a.
(APP) 원화 입출금 인증 제한 시간이 2분으로 짧은 인증 시간으로 제한되는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고 간편인증 알림이 오지 않는 유저들은 이를 인식하고 앱을 이탈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b.
(WEB) 웹으로 통한 간편인증 유저의 경우, 카카오톡/네이버 웹 환경에서 인증이 불가능한것을 인식하기 어려워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2.
카카오뱅크 잔액부족으로 인한 원화 입금 실패사유를 안내해주어도 실패 이후 안내이므로 초기에 1번만 실패한 유저의 실패율을 개선시키기 어렵다.

가설

1.
원화 입출금 시, 인증 시간 초과
a.
(APP)원화 입출금 인증 시, 인증 유효 시간 및 방법을 명확히 안내하고 간편인증 URL 스킴을 통해 앱투앱 이동을 유도하여 앱 이탈 시간을 단축시킨다면 간편인증 시간초과로 인한 입출금 실패가 줄어들것이다.
b.
2. (WEB)원화 입출금 인증 시, 소요 시간을 실시간으로 안내하고 간편인증 수단의 웹 환경에서는 인증이 불가능하다라는 것을 가시적으로 안내한다면 간편인증 시간초과로 인한 입출금 실패가 줄어들것이다.
2.
입금금액 입력화면에서 "카카오뱅크 잔액 확인하기" 앱투앱 버튼을 제공하여 사전에 출금 가능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잔액부족으로 인해 1번만 실패한 유저비율이 줄어들것이다.

프로젝트 성과 지표

Goal : 간편인증 시간초과/잔액부족으로 인한 원화 입출금 실패율 개선
Metric
간편인증 시간초과로 인한 원화 입금 실패율 개선
카카오톡
네이버
2. 잔액 부족으로 인한 원화 입금 실패율 개선
a. 1번만 실패한 유저비율

요구사항 목록

1. APP -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화면 개선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화면 개선
(경로) 입금: GNB 입출금 > 원화 > 입금하기 > 입금금액 입력 > 입금금액 및 계좌 확인 > 인증방법 선택 > 입금 간편인증 화면
(경로) 출금: GNB 입출금 > 원화 > 출금하기 > 출금금액 입력 > 출금금액 및 계좌 확인 > 인증방법 선택 > 출금 간편인증 화면
상세 요구사항:
1.
(APP/WEB) 타이틀로 인증 유효 시간 및 방법을 안내한다. a. 카카오: "카카오에서 온 알림을 2분 이내 인증해 주세요" b. 네이버: "네이버에서 온 알림을 2분 이내 인증해 주세요"
2.
(APP)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시, 각 간편인증 채널별 앱 URL Scheme 버튼을 통해 앱투앱으로 즉시 이동할 수 있다.
a. 연동가이드
i. 카카오: Kakao Developers >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ii. 네이버: 네이버 앱 URL Scheme 연동 가이드
b. "카카오톡에서 바로 인증 확인 하러가기" 버튼 누를 시
i. 앱 미설치: 카카오톡 앱스토어로 이동 ii. 앱 설치: 코인원 알림톡으로 이동(코인원 채널 내 인증요청 메세지로 확인 가능)
c. "네이버에서 바로 인증 확인 하러가기" 버튼 누를 시
i. 앱 미설치: 네이버 앱스토어로 이동 ii. 앱 설치: 네이버앱 메인으로 이동(인앱 인증 메세지로 확인 가능)
3.
(WEB)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시, 각 간편인증 채널별 안내사항을 제공한다. a. 카카오: "카카오톡 웹에서는 인증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모바일에서 확인해주세요." b. 네이버: "네이버 웹에서는 인증을 진 행할 수 없습니다. 모바일에서 확인해주세요."

2. APP - 원화 입금금액 입력 화면

원화 입금금액 입력 화면
경로: GNB 입출금 > 원화 > 입금하기 > 입금금액 입력 - 카카오뱅크 앱투앱 버튼 추가
상세 요구사항:
"잔액 확인" 딥링크 버튼을 통해 앱투앱으로 즉시 카카오뱅크로 이동할 수 있다
딥링크: https://kakaobank.onelink.me/0qMi/bify77cl
1.
앱 미설치: 카카오뱅크 앱스토어로 이동
2.
앱 설치: 카카오뱅크 메인화면으로 이동

WEB -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페이지 개선

경로:
1.
입금: 자산 > 입출금 > 입금 > 입금금액 입력 > 간편인증 수단 선택 및 인증하기 > 입금 간편인증
2.
출금: 자산 > 입출금 > 출금 > 출금금액 입력 > 간편인증 수단 선택 및 인증하기 > 출금 간편인증
3.
간편거래: 간편거래 > 입금하기> 입금금액 입력 > 간편인증 수단 선택 및 인증하기 > 입금 간편인증

모바일 WEB - 원화 입출금 입금금액 입력 페이지

경로:
1.
자산 > 입출금 > 입금 > 입금금액 입력
2.
간편거래 > 입금하기> 입금금액 입력
"잔액 확인" 딥링크 버튼을 통해 앱투앱으로 즉시 카카오뱅크로 이동할 수 있다
딥링크: https://kakaobank.onelink.me/0qMi/bify77cl
1.
앱 미설치: 카카오뱅크 앱스토어로 이동
2.
앱 설치: 카카오뱅크 메인화면으로 이동

참고 사항

타사 간편인증 레퍼런스(삼쩜삼)

UI & 디자인 초안

[AS-IS]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화면 개선

[TO-BE]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화면 개선

주요 개선사항:
타이틀에 인증 시간(2분) 명시
앱투앱 이동 버튼 추가
웹 환경에서 인증 불가 안내 추가

[AS-IS] 원화 입금금액 입력 화면 개선(잔액부족)

[TO-BE] 원화 입금금액 입력 화면 개선(잔액부족)

주요 개선사항:
"잔액 확인" 버튼 추가
카카오뱅크 앱으로 직접 이동 가능

확인해야 할 사항

질문
답변 / 결과
웹 원화 입출금 간편인증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벡엔드 영향범위는?
S3 데이터 정보 등록을 통한 처리로 벡엔드 영향범위 없이 클라이언트에서 처리 가능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