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회고]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에 따른 계좌연결

프로젝트 정보

토픽 이슈: TSP-1667: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에 따른 계좌 연결 실패 개선-(Web, App)
작업 날짜: 2024년 4월 12일 ~ 2024년 5월 2일
배포 날짜: 2024년 5월 2일 (4.12.0 배포)
회고 날짜: 2024년 5월 29일
참여 팀원: PO1, 웹개발자 1, 안드로이드 개발자 1, iOS 개발자 1, QA 1, 디자이너 1
회고 목적:
진행한 프로젝트에 대한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Lesson-learned을 통해 앞으로 업무를 진행할 때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과정으로 활용합니다.
스스로 어떤 목표를 가지고 업무에 임하였는지 되돌아봅니다.
팀이 얼마나 Alignment를 가졌는지 확인합니다.

1. Topic 되짚어보기

1) 목표

계좌 연결시,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연결을 실패하는 유저들에게 안내 개선을 통해 계좌연결 성공경험을 높인다.

2) 성과 지표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인한 중복 계좌연결 실패율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계좌연결을 실패한 유저의 계좌연결 성공 전환율
측정 기간: 배포 일자 전/후 18일 데이터 비교
배포일자: 24.05.02
배포 전: 24.04.14 ~ 24.05.01
배포 후: 24.05.03 ~ 24.05.20

2. 성과 데이터 확인

1)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인한 중복 계좌연결 실패율

→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계좌 연결을 실패한 유저의 중복 실패율 59% 개선
가설: 은행의 KYC 여부를 사전에 체크할 수 없기 때문에 1회 실패하는 것까지 개선되지는 않겠지만 대신 2회 이상 실패하는 사용자는 줄어들 것이다.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중복 실패한 유저의 중복실패 횟수별 비율
구분
1회 실패하는 사용자 비율
다수 실패하는 사용자 비율
배포 전 (24.04.14 ~ 24.05.01)
15.99%
84.01%
배포 후 (24.05.03 ~ 24.05.20)
75.00%
25.00%

2) 전체 계좌등록 요청 횟수 중 카뱅 KYC 미이행 사유가 차지하는 비율 및 계좌 등록 완료 건수

가설: 1회차 연결에 실패한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시도할 때는 연결에 성공한다면 전체 카뱅 KYC 미이행 이유로 계좌 연결에 실패하는 케이스는 줄어들 것이다.
→ 카카오뱅크 KYC 미이행 사유로 계좌 연결을 실패한 유저의 계좌연결 전환율 13.5% 증가
KYC 미이행에 따른 계좌 연결 실패 유저의 전환율 비교
배포 전/후
기간
전체 계좌등록 요청 수
카뱅 KYC 미이행 외 실패건수
카뱅 KYC 미이행
계좌 등록 완료 수
배포 전
4/14 ~ 5/1
13754
969 (7.04%)
1502 (10.92%)
6962 (82.05%)
배포 후
5/3 ~ 5/20
6267
496 (7.91%)
287 (4.57%)
5488 (87.56%)

3. 타임라인 리마인드

Date
Detail
2024년 4월 12일
• 계좌연결 관련 데이터 확인 및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2024년 4월 15일
• 사전검토 미팅(App)
2024년 4월 18일
• 4.12.0 배포의견 • 디자인 완료 • Android 담당자 배정 완료 및 개발 완료
2024년 4월 19일
• App 트레킹 플랜 공유 • QA셀과 배포 일정 논의 및 추후 협업 프로세스 논의 • 카카오뱅크 테스트 계좌 KYC 이행상태 변경자 취합 • 사전검토 미팅(Web) • Web 안내 문구 UX writing 완료 및 기획서 업데이트 • iOS 담당자 배정 완료 및 개발 완료 / 기획 QA 완료
2024년 4월 22일
• Web 담당자 배정 완료 및 개발 완료<br>• Android 기획 QA 완료
2024년 4월 25일
• QA 진행
2024년 4월 29일
• 보안점검
2024년 5월 2일
• 4.12.0 배포
2024년 5월 16일
• Android tracking plan 4.13.0 버전에 추가 반영 완료

4. 3L 회고

좋았던 점 (Liked)

적은 리소스로 성과가 잘 나온것 같아서 좋습니다.
최근에 진행한 프로젝트중 가장 좋은 가성비를 보여주신것 같습니다.
개발 범위가 작기는 했지만 비교적 빠르게 개발했고, 성과도 좋게 나온 것 같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아쉬웠던 점 (Lacked)

급하게 진행되다보니 이벤트 트래킹 문서를 공유받지 못하고 놓쳤는데 이런상황이 다시 반복 되지 않도록 잘 유의해서 놓친 부분이 없는지 한번 더 고민해보고 진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프로세스 측면에서 놓친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좀 더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꼼꼼하게 신경 써야 할것 같다.
무려 C-level 입사 온보딩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이 아쉬웠음. 모든 구성원들이 고객 서비스에 있어서 디테일한 부분을 평소 잘 발견했으면 좋겠다(저 포함).

배운점 (Learned)

카카오뱅크도 kyc가 안되어 있을수도 있음을 배웠음
기능이 꼭 크다고 해서 유저 임팩트가 큰 것은 아닌 것 같다!
사용자에게 내용을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것이 사용 경험 뿐 아니라 지표 측면에서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5. 향후 액션 플랜

구분
Notes
Status
Action items
Continue<br>(계속 진행해볼 것)
• 개발 범위가 작고 유저 임팩트가 큰 토픽 지속적 발굴<br>• 데이터 지표 기반으로 문제점 발견 및 지표 개선
Stop<br>(이제 하지않아야 할 것)
• 협업 프로세스에서 놓친것이 없도록 꼼꼼히 체크
Start<br>(새롭게 해볼 것들)
• 고객 서비스에 있어서 디테일한 문제사항 등 이슈들을 평소에 지속적인 트레킹 필요